연말이다.
좋으나 싫으나 사람으로서 도리를 다하기 위해서는
이곳 저곳 술자리에 끼어들 수밖에 없고
빠져 나오기 위해 눈치를 보거나
빠져 나가는 친구를 비난하거나
택시를 잡기 위해 도로 위에서 발을 구르거나
아무튼 작년 이 맘 때와 나아진 게 없다는 모습을(외면으로나 내면적으로나)
스스로와 주변 사람들에게 다시 한 번 알려주기 위한 일들이 벌어진다.
한국에서의 술자리를 보면 다분히 통과의례적인 모습을 많이 발견하게 된다.
술 마신 다음날 출근을 하면 선배 격의 사람이 흐뭇한 표정으로
“어제 많이 마셨지? 몸은 괜찮아?”라며 다정하게 물어본다.
이 말 속에서, ‘몸이 아플 정도로 마시지 않으면 된다’는 지극히 상식적인 생각이
반영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가 있다.
다시 말해서, 자신이 마시고 싶은 만큼 알아서 적당히 마시는 술 문화에서는
서로의 몸에 대해 다음날 아침 염려해주는 이런 식의 풍경은 쉽게 찾아볼 수 없을 것이다.
더구나 그 말을 건넬 때의 흐뭇한 미소 속에는
“자식, 너도 그렇게 선배가 되고 사회인이 되어가는 거야”라는
구성원의 일원으로서 인정해주는 그런 식의 사고가 내포되어 있다.
이런 대화를 나누는 아침의 전날 풍경으로 되돌아가본다면
안 봐도 단체로 술을 돌리고, 단체로 동시에 잔을 비우고 하는 모습을 쉽게 떠올릴 수가 있다.
그리고 이 모습은 다분히 제례의식과 닮아 있다.
모두가 신성한 곳에 신성한 모습으로 모여 신성한 하나의 목적 아래 동일한 행동을 하는 것.
그리고 이런 술자리 의식을 함께 해야만 한 명의 당당한 구성원으로 받아들여준다는
암묵적인 시스템.
대학 신입생 환영회 때부터, 사회로 진출하고, 다시
직장을 옮길 때마다 이런 일들은 끊임없이 반복된다.
통과의식은 한국의 술 문화에 있어서 그 무엇보다도 뚜렷한 의식이다.
그리고 이런 의식은 반만년의 역사를 주구장창 자랑하는 민족답게
역시나 매우 원시적인 때부터 있어온 의식이고
아프리카나 오지의 원주민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일어나고 있는 일이고
다큐멘터리 채널 등을 통해서 확인할 수도 있는 일이다.
조금 다르게 말한다면,
통과의례라는 문화는 매우 원시적이고 미개한 때의 흔적이다.
그리고 그건 우리나라 음주문하에 매우 강하게 자리잡고 있다.
술의 원시성과 문화의 원시성이 적절하게 어우러져
연말을 더욱 끝장나게 만들어 주고 있다.